사용자 삽입 이미지

영화 '거울 속으로'의 거울 속의 내가 나를 죽인다는 섬뜩한 설정은 처음 두개의 살인 장면 뿐이고 다음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것은 거울 속에 사는 귀신에 대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이 영화는 영리하게도 귀신이라는 설정에서 끝나지 않고 거울 속에 있는, 현실 세계와 또다른 평행 세계를 끌어들인다. 그리고 이런 평행 세계를 모두가 공유하는 거대한 세계관으로 확장시키지 않고 개인의 정신분열적 소산으로 봐도 무방할 만큼 개인적인 공간으로 한정함으로써 오버하지 않는다.

그러니까 거울 속으로는 현실과 환상이 모호한 공간을 다루는 영화는 아니다. 쌍둥이라는 자각에서 거울 속의 자신을 언니라고 믿는 지현과 거울 속 존재를 보았다고 믿는 영민은 거울 속의 세계를 한번도 공유하지 않는다. 즉 그 세계를 같이 보지 않는다. 그러니 이 세계는 개인의 상상으로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이 영화가 개인적인 상상이 아닌 현실과 허구의 경계가 없는 이야기라면 거울 속에 존재하는 귀신의 존재를 믿지 않는 현수와 죄책감으로 인해 거울도 제대로 보지 못하지만 살인범의 존재가 귀신이라고 믿는 영민이 그 세계를 공유해야만 한다. 이 영화의 살인 사건은 두 사람의 시점으로 진행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감독은 귀신 이야기 혹은 평행 세계와 같은 모호한 세계를 다루면서도 현실성을 잃지 않는 명민함을 보인다
.

영민이 거울 속의 세계를 인식하는 순간은 술에 취해있거나 총에 맞아 정신이 몽롱한 경우이고, 예외적으로 보이는 장면에서도 그 다음 장면은 꿈에서 깨는 장면으로 교묘하게 연결되어 있어 거울 속의 공간이 살아나는 것은 살해된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개인적인 죄의식의 발현으로 연결지어 생각할 수 있어 역설적이지만 허황되지 않게 현실성을 획득하는 잘 만들어진 영화이다. 최소한 거울 속으로는 다소 유치하고 엉성한 면도 분명있지만 날림으로 대충 만든 영화가 아니라 하나하나 세심하게 계획된 노력한 영화라는 생각에 박수를 쳐주고 싶다. 대칭이면서도 비대칭인 세계의 비쥬얼을 유지하기 위해 살인범이 죽는 마지막 순간까지 유리로 눈을 찔러 가면서 집착하는 것만 봐도 얼마나 사랑스러운 영화인가라는 생각
~.

첨언
.
-.
괴담을 하나라도 더 넣기 위해 총에 맞아 철철 피를 흘리는 사람을 붙잡고 자네 삼촌은 저녁에 건물에서 뛰어내렸네 같은 대사를 날리는 장면은 피했으면 좋았지 않을까 싶다
.
-.
지태의 연기도 다소 어색하기는 마찬가지였지만, 쌍둥이 역할을 맡은 김혜나는 왜 이리 어색한건지
.
-.
타일을 타고 피가 흐르는 이 영화의 오프닝 참 좋다.

제목: 거울 속으로 (In to the mirror, 2003)
감독: 김성호

배우: 유지태, 김명민, 김혜나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