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뉠 수 있는 구도를 가지고 있는 마더는 전반부에 관객이 익숙하게 느꼈을 혹은 기대했을 진실에 대한 갈망, 범인추적, 어머니의 맹목적인 사랑, 결백한 아들에 대한 심정적인 동조 등을 후반부에서 모두 뒤집는다. 시간상으로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는 것은 아니고 봉준호가 진짜 말하고자 했던 도덕적 딜레마와 진실의 모호함이 드러나는 순간, 앞의 내용은 모두 가짜로 전락해 버린다. 심지어 캐릭터의 역할도 정반대로 변해버린다. 정신줄 놓고 사는 아들을 챙겨주던 엄마는 정신줄 놓은 엄마를 챙겨주는 아들로 극적으로 변모한다. 동네 사람들이 모두 바라볼 수 있도록 폐가의 옥상에 시체를 널어둔 장면에서 느꼈을 소름 돋는 공포는 안타까움으로 뒤바뀐다. 봉준호는 역시 봉테일이다.
인간은 순수한 감정을 지닐 때 가장 폭력적일 수 있다는 모순을 안고 있는 존재다.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 미숙한 어린아이들이 쉽사리 생명을 유린하는 것처럼 엄마라는 존재는 내새끼라는 전제 속에서 절대 순수하게 존재하기에 더욱 잔인해 질 수 있다. 그리고 그녀는 역시 내새끼의 엄마(영화에서 김혜자는 이름도 없다)이기도 하지만 그녀라는 인간이므로 도덕적인 괴로움을 경험하게 된다.
영화를 보기전 김혜자는 광기에 사로잡힌 인물일 거라 생각했고 그래서 극단적인 감정을 연기할거라 짐작했다. (극단적인 상황의 연기는 심심한 연기보다는 좀 더 잘한듯이 보이게 마련이다.) 김혜자가 그런 좀 더 잘한듯이 보이는 연기를 할거라 생각했는데, 예상이 완전히 빗나갔다. 김혜자는 단순히 극단적인 감정만을 표출하지 않다. 오히려 매우 섬세할 지경이다. 그녀의 연기는 단지 광기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따뜻함과 딜레마에 갇힌 괴로움과 곤란함, 터질듯한 증오와 여자로서의 아픔을 모두다 표현해 낸다. 평생 동안 밥 한번 지어본 적도 없고, 손에 물 한 방울 묻혀본 적이 없다는 김혜자가 국민 엄마로 불릴 수 있는 연기 비결이 마더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아주 오래전에 김혜자가 불치병으로 죽는 드라마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것을 손가락으로 꼽으면서 거의 정신줄을 놓아버리는 장면이 있는데 마더에서 보여준 광기의 모습이 딱 그런 모습이 아닌가 하고, 그런 이미지를 포착해낸 봉준호 감독도 참 대단하다. 제목이 마더고 '이 맛이야'를 다정하게 외치는 국민 엄마 김혜자가 나오니 얼핏 오해할 수도 있겠다 싶지만, 마더 속의 엄마는 결코 국민 엄마도 아니고 이 영화가 모성을 감동적으로 표현한 영화도 아니다. 그저 태생적으로 딜레마를 안고사는 가련한 삶에 대한 안쓰러움 정도를 표현한 영화일까.
치매에 걸린 할머니와 같이 살며 생계를 꾸려가기 위해 몸을 파는 여고생, 여고생을 농락하는 탐욕스런 어른들, 여고생을 살해한 범인, 범인을 목격한 아까 그 탐욕스런 어른들, 변호사와 합의하는 판사, 친구를 등쳐먹는 학생들, 아들 친구와 정분난 엄마, 그 엄마를 협박하는 친구, 엄마 협박하는 아들. 하지만 진실은 누구도 알지 못한다. 진실이 무언지 알 수 없지만 시궁창 같은 더러운 현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
마더의 범인은 누구라고해도 그다지 이상하지 않다. 이렇게 생각해도 들어맞고 저렇게 생각해도 들어맞는다. 물론 영화가 표면적으로 '너야'하는 범인은 존재하지만, 그 증거라는 것이 애매하게 처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쨋거나 봉준호가 취하는 입장은 진실은 확실히 모르겠지만, 무언가 지져분한 사건들이 존재하는 사회이며, 모성이란 때로는 잔혹하며 가여운 것이라는 점이다.
덧붙여.
-. 버스 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석양 빛에 물들어 취생몽사의 침을 맞고 흔들어대는 마지막 장면은 뭐랄까 그냥 맥이 풀린다.
-. 봉준호 영화 속에 등장하는 유머들, 이를테면 현장감식하는 중요한 대목에서 논두렁에서 미끄러진다든지하는 그런 장면을 좋아하는데 마더에서도 여지없이 등장한다. 변기를 붙잡고 토하는 김혜자의 머리위로 떨어지는 변기뚜껑 같은 그런 유머. 구차하고 비루해 보이지만 인간적인 디테일이라고나할까. 이런 영상만 주루룩 모아보아도 재미있겠네.
-. 봉준호 감독은 아예 농촌 스릴러 3부작 이런 영화를 만들면 어떨까 싶다. 그는 황톳 빛깔의 농촌 풍경을 때로는 날것의 에너지가 충만한 섬뜩한 공간으로 그리기도 하고, 때로는 거장의 유화를 보는 듯 숨막히게 아름답게 잡아내기도 한다. 멋지다.
인간은 순수한 감정을 지닐 때 가장 폭력적일 수 있다는 모순을 안고 있는 존재다. 옳고 그름에 대한 판단이 미숙한 어린아이들이 쉽사리 생명을 유린하는 것처럼 엄마라는 존재는 내새끼라는 전제 속에서 절대 순수하게 존재하기에 더욱 잔인해 질 수 있다. 그리고 그녀는 역시 내새끼의 엄마(영화에서 김혜자는 이름도 없다)이기도 하지만 그녀라는 인간이므로 도덕적인 괴로움을 경험하게 된다.
영화를 보기전 김혜자는 광기에 사로잡힌 인물일 거라 생각했고 그래서 극단적인 감정을 연기할거라 짐작했다. (극단적인 상황의 연기는 심심한 연기보다는 좀 더 잘한듯이 보이게 마련이다.) 김혜자가 그런 좀 더 잘한듯이 보이는 연기를 할거라 생각했는데, 예상이 완전히 빗나갔다. 김혜자는 단순히 극단적인 감정만을 표출하지 않다. 오히려 매우 섬세할 지경이다. 그녀의 연기는 단지 광기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따뜻함과 딜레마에 갇힌 괴로움과 곤란함, 터질듯한 증오와 여자로서의 아픔을 모두다 표현해 낸다. 평생 동안 밥 한번 지어본 적도 없고, 손에 물 한 방울 묻혀본 적이 없다는 김혜자가 국민 엄마로 불릴 수 있는 연기 비결이 마더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아주 오래전에 김혜자가 불치병으로 죽는 드라마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것을 손가락으로 꼽으면서 거의 정신줄을 놓아버리는 장면이 있는데 마더에서 보여준 광기의 모습이 딱 그런 모습이 아닌가 하고, 그런 이미지를 포착해낸 봉준호 감독도 참 대단하다. 제목이 마더고 '이 맛이야'를 다정하게 외치는 국민 엄마 김혜자가 나오니 얼핏 오해할 수도 있겠다 싶지만, 마더 속의 엄마는 결코 국민 엄마도 아니고 이 영화가 모성을 감동적으로 표현한 영화도 아니다. 그저 태생적으로 딜레마를 안고사는 가련한 삶에 대한 안쓰러움 정도를 표현한 영화일까.
치매에 걸린 할머니와 같이 살며 생계를 꾸려가기 위해 몸을 파는 여고생, 여고생을 농락하는 탐욕스런 어른들, 여고생을 살해한 범인, 범인을 목격한 아까 그 탐욕스런 어른들, 변호사와 합의하는 판사, 친구를 등쳐먹는 학생들, 아들 친구와 정분난 엄마, 그 엄마를 협박하는 친구, 엄마 협박하는 아들. 하지만 진실은 누구도 알지 못한다. 진실이 무언지 알 수 없지만 시궁창 같은 더러운 현실이 존재한다는 사실은 알 수 있다.
마더의 범인은 누구라고해도 그다지 이상하지 않다. 이렇게 생각해도 들어맞고 저렇게 생각해도 들어맞는다. 물론 영화가 표면적으로 '너야'하는 범인은 존재하지만, 그 증거라는 것이 애매하게 처리되어 있기 때문이다. 어쨋거나 봉준호가 취하는 입장은 진실은 확실히 모르겠지만, 무언가 지져분한 사건들이 존재하는 사회이며, 모성이란 때로는 잔혹하며 가여운 것이라는 점이다.
덧붙여.
-. 버스 안으로 흘러들어오는 석양 빛에 물들어 취생몽사의 침을 맞고 흔들어대는 마지막 장면은 뭐랄까 그냥 맥이 풀린다.
-. 봉준호 영화 속에 등장하는 유머들, 이를테면 현장감식하는 중요한 대목에서 논두렁에서 미끄러진다든지하는 그런 장면을 좋아하는데 마더에서도 여지없이 등장한다. 변기를 붙잡고 토하는 김혜자의 머리위로 떨어지는 변기뚜껑 같은 그런 유머. 구차하고 비루해 보이지만 인간적인 디테일이라고나할까. 이런 영상만 주루룩 모아보아도 재미있겠네.
-. 봉준호 감독은 아예 농촌 스릴러 3부작 이런 영화를 만들면 어떨까 싶다. 그는 황톳 빛깔의 농촌 풍경을 때로는 날것의 에너지가 충만한 섬뜩한 공간으로 그리기도 하고, 때로는 거장의 유화를 보는 듯 숨막히게 아름답게 잡아내기도 한다. 멋지다.
'HorroR-movi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 여름 봐야할 단 한편의 공포영화를 꼽는다면 - 드래그 미 투 헬 (20) | 2009.06.12 |
---|---|
퍼니게임 - 이미 우리는 폭력에 침식당하고 있다. (4) | 2009.05.28 |
알파벳 킬러 - 안 봐도 좋지 아니한가 (0) | 2009.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