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 - 8점
이시모치 아사미 지음, 김주영 옮김/씨네21
알라우네 Alaune – 무고하게 죄를 뒤집어쓰고 교수형에 처해진 남자가 흘린 정액에서 피어난 전설의 식물, 알라우네를 뽑으면 무시무시한 비명이 나는데 그 소리를 들은 사람은 죽는다. 하지만 뽑힌 알라우네를 정성스럽게 돌봐주면 주인에게 많은 행복을 가져다 준다.

원죄(억울한 죄) 피해자와 그 가족을 돌봐주는 단체의 나미키. 살인자의 가족이라는 이유로 세상으로부터 질타 받고 억울하게 소중한 사람까지 잃은 상처입은 피해자들이 세상 속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상담을 해주고 힘을 키워주는 원죄 피해자 지원단체의 나미키는 그가 도와준 피해자들이 도리어 세상에서 자신을 지키기 위해 사회를 이쪽편과 저쪽편으로 나누는 극단적인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을 강화하여 자기 편이 아닌 사람은 모두 적으로 간주하여 살인도 불사하는 괴물(알라우네)로 자라나게 됐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래서 그렇게 괴물로 각성된 세명의 여자 아이를 살해하기로 결심한다. 그러나 알라우네를 뽑아내어 이용하려는 그의 애인 아카네가 그의 음모를 눈치 채고 그를 죽이려 한다.

이치모치 아사미의 '귀를 막고 밤을 달린다'는 하룻밤 동안에 일어나는 연쇄살인의 괘적을 살인자의 시점으로 그리는 소설이다. 사회적 피해자에서 후천적 싸이코패스로 자라난 여자들을 죽이려는 그의 동기 자체가 스스로가 괴물(연쇄 살인범)이 된다는 모순 속에서 출발하기에 이 살인의 여정은 혼란으로 가득차 있다. 모든 살인은 계획 없이 상황에 맞추어 즉흥적으로 진행되기에 이 혼란과 모순은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심화되고 이는 이 소설에 독특한 긴장감과 재미를 부여한다.

이 소설에 뛰어난 논리로 무장하거나 범인의 상식을 초월하는 지적유희는 없지만 모자라다 싶을 정도의 지식과 행동으로 완전 범죄를 꿈꾸는 평범한 사람이 연쇄살인범으로 변모해가기에 변태과정은 오히려 설득력있게 다가온다. 이 어설픈 살인자는 필연적으로 경찰에 잡힐 수 밖에 없기에 완전범죄을 완성하기 위한 스릴은 없지만, 그렇기에 그의 심리에 더욱 주목하게 만드는 힘이 있다.

원죄 피해자의 자식은 그가 살인자의 씨라는 이유로 세상으로 부터 천대 받게 된다. 멸시 당한 자식은 또다른 의미로 세상으로 부터 원죄를 얻게 된다. 상처입은 자는 자신 안으로 숨어들고 세상을 모두 적으로 돌린다. 그것이 극단으로 치닫게 된다면 그는 진짜로 범죄자가 된다. 그리고 범죄의 대상은 그를 제외한 모든 나머지이기에 세상 사람들의 손쉬운 손가락질은 결국 구부러져 자기에게 돌아오게 된다는 결론을 얻게 된다. 그러니 손쉽게 타인을 멸시하는 행위는 그 자신에게 칼을 꼽는 것과 마찬가지라는 소설의 숨겨진 이야기는 충분히 설득력이 있다. 원죄의 피해자들이 고통을 벗어나는 과정에서 괴물이 된다는 설정이 다소 불편하기도 하지만, 그만큼 피해자를 온전히 사회로 복귀시키는 것, 즉 트라우마를 벗겨내는 것이 오히려 괴물이 되는 것보다 어려운 일이라는 반증으로 읽힐 수도 있겠다.

살인은 한번이 어렵지 일단 그길에 들어서면 어려운 일도 아니라는 말은 겪어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우리삶의 대개의 것들은 처음이 설레고 두려운 것이고 매사는 늘 둔감해지기 마련이라는 것에 동의한다면 살인에 대한 이와 같은 문장도 아주 틀린 말은 아닐 것이다. 그러니 일반인이 연쇄살인범으로 변모해가는 모습과 그심연을 들여다보는 것은 위험하지만 언제나 흥미롭다. 세련된 문장으로 다듬어진 소설은 아니지만, 살인범의 즉흥성을 나타내듯 짧게 끊어진 거친 문장들로 이루어진 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는 독일의 알라우네 전설이 현실에서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소설이다. 생각보다 근사한 반전도 갖추고 있고.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