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 1셀 1 - 10점
스티븐 킹 지음, 조영학 옮김/황금가지
'죠지 A. 로메로와 리처드 매드슨에 바친다'라는 거창한(!) 헌정사와 함께 시작되는 스티븐 킹의 'cell'은 작가의 이름 뿐 아니라 이 작품이 경배해 마지않는 시체 3부작과 나는 전설이다에 결코 묻혀버리지 않을 만큼의 위력적인 진행과 틈새시장을 공략하는 듯한 새로운 아이디어가 샘솟는 작품이다.

'셀'은 어느날 갑자기 핸드폰(cellular phone)을 통해서 기이한 전파에 사로잡힌 사람들이 좀비가 되고 핸드폰을 꺼내든 모든 사람들이 살아있는 시체가 되어버리는 아비규환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이 자신의 생명의 끈을 놓치 않기 위해 사랑하는 사람 혹은 살 곳을 찾아 떠나는 이야기이다. 이 단순한 이야기 속에서 '역시 스티븐 킹이야!'라고 왕에게 감사를 표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어떤 좀비 영화 속에서도 볼 수 없었던 강렬함과 인간의 본성을 절묘하게 포착하는 이야기와 캐릭터의 성격을 잘 살려서 독자로 하여금 경험해보지 못한 세계의 무질서를 공감하게 하는 문장이다.

이 책을 집어들고 읽기 시작한 순간부터 독자는 그 강력한 비쥬얼에 바로 사로잡혀 버린다. 스크린이 아닌, 혹은 독자의 상상력이 아닌 100% 활자로 인해 눈앞에 펼쳐지는 듯이 묘사하는 이 소설의 도입부는 정말로 강렬하고도 압도적이다. 좀비들은 대개 어느날 갑자기 생겨나고 또한 깨무는 행위를 통해서 종족이 증식해 나가고 느릿느릿한 동작, 그리고 지능이 없다는 개념 때문에 역동적인 강렬함을 갖기가 힘들다. 그러나 셀은 좀비와 H.G. 웰즈의 우주전쟁식의 동시다발적인 재앙을 아우르면서 좀비물 역사상 가장 힘이 넘치고 역동적인 오프닝을 활자를 통해서 생생히 연출해 낸다. 현재 이 소설이 어느 정도로 영상화가 진행되고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라이 로스가 바보가 아닌 이상 소설에서 묘사하는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라 똑같이(!)만 만든다면 아마 좀비를 다루고 있는 영화사상 가장 강렬하고도 강력한 비쥬얼을 가진 오프닝이 될 거란 것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그 정도로 소설의 도입부가 굉장히 매력적이다.

핸드폰을 통해서 좀비가 되는 이유를 언급하면 스포일러가 될 것 같아서 밝히진 않겠지만, 인간의 뇌가 제로(0)가 됐을 때 폭력이라는 본능만이 남아 있을 것이라는 얘기는 굉장히 설득력을 갖고 또한 컴퓨터와 인간의 진화가 항상 비슷한 양상을 공유하고 있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나로서는 전체적인 이야기가 굉장히 가슴에 와 닿았다. 신은 인간을 만들고 인간은 컴퓨터라는 기기를 만들었지만, 그 발전해 나가는 양상과 바이러스라고 불리우는 병원균으로 인해 골머리를 앓는 것은 기기와 인간이 똑같이 매년마다 백신을 만들어 내는 것처럼 용어상의 공통점이 아닌 그 본질적인 공통분모를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야기가 진행되고 좀비가 양산되는 폭발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인간이 어떤 환경에도 적응해 나가고 그럼에 따라서 계층이 생겨나고 또다른 그룹이 탄생되듯이 이 소설의 좀비 속에서도 또다른 종족이 탄생되고 발전해 나가는 것을 보여준다. 이것은 '나는 전설이다'의 세계가 건설되기 까지의 과정을 세밀하게 그려나간 듯하고 그래서 책머리에 쓰인 헌정사에 고개가 끄덕끄덕하게 된다. 그래서 '셀'은 폰사이코라는 용어에서 폰피플이라는 용어로 진화해 나가는 것처럼 다수와 소수의 경계, 정상과 비정상의 차이를 '나는 전설이다'라는 한 문장으로 뒤통수를 후려치던 리처드 매드슨 소설의 프리퀄처럼 느껴진다.

그리고 좀비의 입을 통해서 음악이 흘러나오는 등의 킹이 그리는 디스토피아의 모습은 이토준지의 세상만큼이나 괴상하고 기괴하며 그 속에서 끊임없이 독자의 귀를 간지르는 올드팝(책에서는 음악의 제목을 모두 한글화 하였는데 개인적으로 원어 제목을 그대로 썼으면 오히려 독자가 쉽게 공감했으리라 생각한다.)은 서정적이라 한층 더 초현실적인 상황을 만들어낸다.

셀을 읽으면서 '역시 왕은 왕이다'라는 생각밖에는 할 수 없었고, 심리적인 공포감이 아닌 활자로 시각적인 공포감을 자아내는 이 소설이 영상화된 모습을 빨리 스크린으로 보고 싶다.
 
AND